본문 바로가기

mutterS

일상과 비일상에 대한 약간 어려울 이야기

모든 이야기는 비일상을 기반으로 한다.

반복되고 특별한 고저와 흐름이 없는 일상은 이야기에 적합하지 않다.

일상물이라는 것도 따져보면 일상중에 일어난 소소한 비일상 에피소드에 의존한다.

한편 그 일상도 사람에 따라 매우 다른 것이라

누군가의 10년치 모험거리도 다른 누군가의 짧은 일상에 불과할 수 있다.

시리아 내전이 우리한텐 엄청난 비일상이지만 거기는 일상이잖아.

생사가 오락가락하지만.

일상이 별 거 아니라는 것은 아니다. 이야기로 풀어내기에 적합하지 않을 뿐이다.


일상이 사람마다 다른 것처럼 비일상도 역시 그러하다.

시리아 얘기를 좀 더 풀어보자. 거기에서 10년 전의 다마스커스 이야기는

판타지에 가까운 비일상이 될 것이다.


여기에서 개념을 살짝 꼬아본다.

일상의 반대 개념으로, 상대적으로 존재하는 비일상은

단단한 일상을 기반으로 할 수밖에 없다.

일상이 굳건할수록, 반복적이고 따분하고 흐름이 없을수록

비일상이 가져오는 파격, 일탈, 신선함, 등의 효과가 크다.


물론, 유동성이 풍부한 삶도 일상이 될 수 있다.

전장을 옮겨다니는 용병팀이 그럴 것이고, 장돌뱅이의 역마살이 그렇다.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일상은 그 생의 기반이기 때문이다.
의식주를 영위하기 위한, 또는 그것을 준비하기 위한 삶.


그러나 일상이 불안하여 거기에서 비일상을 구분해 낼 수 없다면,

비일상적 이야기가 끼치는 효과는 미미하다.

현실이 불안할 때 우리는 이야기를 찾을 때가 아님을 안다.

어떻게든 고정을 시켜야 할 때임을 안다.

이 때의 이야기는 자칫 현실과 섞여버리기도 하지.


-그렇게 아름다운 비현실이 깊게 다가오지 않았다.


여전히 나는 새로운 이야기에 굶주려 있으나, 지금은 아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게임은 스토리가 약한, 또는 이미 해 본 게임의 업적달성용 반복 정도.